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차이, 뜻, 주가영향 핵심정리

주식투자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차이점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국내 증시에서 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정규장이 끝난 후 갑작스러운 증자 공시로 인해 마치 날벼락을 맞은 것과 같은 경험을 하신 분들이 꽤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유상증자와 무상증자는 무엇인지 같이 알아보고,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증자의 개념

증자란 자본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자본금은 쉽게 말하면 사업자금입니다. 우리가 가게를 열었을 때 들어가는 초기투자금이 500만원이라면 그것이 자본금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본금을 늘리는 것도 금방 이해될 것입니다. 사업을 확장하거나, 현재 사업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을 주식회사로 가져와 보겠습니다. 주식회사는 사업을 위한 초기 자금을 끌어오는 원천이 곧 주주입니다. 따라서 주주가 출자한 돈이 초기 자본금이 되며, 이 자본금은 주식 X 액면가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액면가가 100원이라면 회사가 초기에 자금을 모집할 때 1,000주를 발행해 신규 주주들에게 분배했다면 자본금은 100,000원이 되는 원리인 것입니다. 

유상증자란?

말 그대로 증자를 하는 과정에서 대금납입이 있었다는 뜻입니다. 추가적으로 회사가 사업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기존 주식을 놔두고 새로운 주식을 더 발행해 주주들에게 판매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유상증자를 실시하게 되면 회사가 발행한 총 주식 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다만 이는 시장에 악재가 됩니다. 유상증자를 했다고 해서 회사의 기업가치가 단번에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회사가 추가적으로 투자받은 돈을 활용해 더 많은 이익을 내야 그제서야 기업가치 상승이 정당화 될 것입니다. 그런데, 유상증자 직후에는 기업 가치는 그대로인데, 발행주식수가 늘어나니 1주의 가격은 내려가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그래서 투자를 하다보면 유상증자 이슈를 맞고 다음날 주가가 하한가까지 곤두박칠 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미국주식과의 차이

  • 미국주식에서는 이러한 유상증자 방식은 2가지가 있습니다. 오퍼링(Offering)이라고도 하는데요, 일반 대중에게 공모를 하는 방식과 특정 대상에게 발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전자의 경우 Public Offering, 후자의 경우에는 Direct Offering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무상증자란?

이렇게 유상증자에 대해서는 이해가 됐는데, 무상증자라는 것이 또 나와서 당황스러우셨던 분도 계셨을 것 같습니다. 

무상증자도 자본금을 늘리는 것은 맞는데, 앞에 “무상”이라는 말처럼 따로 주주들이 납입하는 대금 없이 자본금을 늘린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회사는 무슨 이익이 있길래 무상증자를 하는 것일까요? 대부분의 목적은 주가 부양입니다. 무상증자를 실시하면 주식을 공짜로 나누어준다는 것 때문에 주가가 대부분 급등합니다. 

실질적으로는 달라지는 것은 없는데 말입니다. 주식수를 나누어주는 것은 좋지만, 그에 상응하는 만큼 주가가 조정이 되기 때문에 조삼모사인 것입니다. 

무상증자의 원리

  • 그렇다면 자본금은 도대체 무슨 재원으로 늘리는 걸까요? 바로 회사에 쌓여있는 자본 잉여금을 가지고 실시하게 됩니다. 
  • 회사가 BW, 즉 신주인수권부사채나 CB, 전환사채 등을 발행하고, 투자자가 주식 인수권을 행사하게 되면 회사에게는 주식발행 초과금이라는 회계상의 이익이 발생합니다. 
  • 즉, 자본금은 액면가X발행주식수인데, 실제로 이들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주식의 가격은 액면가보다 통상 높기 때문입니다. 
  • 그 차액만큼이 자본잉여금으로 쌓이는 것입니다. 무상증자는 이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옮기는 회계상의 작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가에의 영향

지금까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그 의미는 어느정도 이해했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는 단지 경제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투자자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주가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 일 것입니다. 

유상증자 무상증자 차이

유상증자 시

  • 앞서 말한대로 유상증자는 보통 증시에서 악재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물론 회사가 매출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설비투자를 하고자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는 드물게 주가가 오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 즉, 공장만 짓기만 하면 매출이 증가할 것이 뻔하기 때문에 호재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유상증자는 악재로 작용하게 됩니다. 조금 냉정하게 생각하면, 내부 자금 사정이 넉넉한 회사의 경우 신규사업을 진행할 때 굳이 기존 주주들에게 욕먹을 유상증자를 실시해서 자금을 조달하지 않습니다. 
  • 그렇기에 재무구조가 부실한 기업들이 대부분 유상증자를 하게 되며, 이는 곧 주가 약세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 보통 장 마감 공시가 나온 후 유상증자 공시가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상증자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잠재 물량의 위험성도 커지기 때문에 하락폭이 커집니다. 
  • 시가총액이 작은 종목들은 증자결정 공시에도 과도하게 하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무상증자 시

  • 유상증자와 반대로 무상증자 결정 공시가 나오면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역시 증자비율(1주당 무상으로 주식을 배부하는 수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주가 급등 수준이 달라집니다. 
  • 그러나 무상증자 역시 신주 입고일자가 다가오면 올랐던 주가는 다시 내리기 시작하며, 신주의 발행가로 회귀하게 됩니다. 
  • 또한, 무상증자 권리락 이후 점상한가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증자비율이 클 경우 권리락 이전 잔고가 증자 비율대로 줄어들어 실질적으로는 큰 이익을 얻기 어렵습니다. 
  • 권리락 이후 단타로도 대응을 하기 어려운 이유가, 바로 점상한가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 

결론

이상 유상증자와 무상증자 개념에 대해 전체적으로 짚어보았습니다. 최종적으로 결론을 살펴보면 유상증자 공시가 나면 주가는 하락, 무상증자의 경우는 급등이 대체적인 공식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봤듯 이 두가지 이슈로 인해 주주가 큰 돈을 벌기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가 집중적으로 피해야 할 것은 유상증자 잠재 종목일 것입니다. 유상증자를 피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재무제표를 꼼꼼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회사 내에 유보 현금은 넉넉하게 있는지, 혹은 자본잠식이 일어나지 않는지 항상 살피고 투자해야 할 것입니다. 

같이 볼만한 글들

Contents